양도소득세(2) – 한국의 양도소득세

한국의 양도소득세 이번주는 한국의 양도소득세에 대해 살펴보기로 합니다.   종합소득과 분리하여 과세 한국은 미국과 달리 양도소득을 종합소득(급여, 이자, 사업소득 등)과 합산하지 아니하고 별도로 과세합니다. 따라서 한국에서 양도소득이 발생하면 종합소득세 신고와는 […]

양도소득세(1) – 미국의 양도소득세

미국의 양도소득세   이번주는 주식또는 부동산 처분시 발생하는 양도소득(Capital gains)에 대한 미국세법의 내용을 살펴보기로 합니다. Capital gain이란? 양도소득(Capital gains)하면…? 부동산, 주식투자등이 떠오릅니다. 그런데 미국세법상 ‘capital gain’이란 자본재산(Capital assets)을 처분할 때 […]

상속증여(12)-미국 영주권자가 한국의 부모로부터 한국의 부동산을 증여받으면…

미국 영주권자가 한국의 부모로부터 한국의 부동산을 증여받으면…   보스톤에 거주하고 있는 미국 영주권자인 김한국씨는 한국에 거주하는 부(父)로부터 한국에 있는 부동산을 증여받아 임대사업을 할 예정입니다. 이경우 한국과 미국의 세금관계는 어떻게 되나요? […]

상속증여(10)-비거주자에 대한 한국의 증여세

비거주자에 대한 한국의 증여세   한국에서는 수증자(증여를 받은 사람: donee)가 증여세를 신고∙ 납부해야 합니다. 이때 수증자가 거주자이면 국내∙외 모든 증여재산에 대하여, 수증자가 비거주자이면 국내에 있는 증여재산에 대해서만 증여세를 납부합니다.   […]

상속증여(9)- 비거주자에 대한 미국의 증여세

비거주자에 대한 미국의 증여세   이번주는 비거주자에 대한 미국의 증여세 규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합니다.   증여세법상 비거주자란? 먼저, 상속세·증여세법에서 말하는 거주자 · 비거주자 개념을 살펴보기로 합니다. 상속세·증여세법에서 말하는 거주자 · […]

이명원 회계사 한국방문 11월 29일까지 연장

많은 관심 속에 지난 11월 14일과 16일 양일간 매일경제 교육센터에서 개최한 한/미간 소득세 신고및 상속증여 전략 특별 세미나 과정을 마쳤습니다. 세미나 후, 참석하신 분들과 상담의 시간 및 개별 상담으로 많은 […]

상속증여(8) – 미국의 연간증여면제액과 한국의 증여재산공제

미국의 연간증여면제액과 한국의 증여재산공제   미국의 증여세법에서는 증여자가 수증자1인에게 증여한 금액 중 매년 $14,000(2017년 기준)은 아예 증여로 보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연간증여면제액 : annual exclusion). 오늘은 한국의 증여세법상의 증여재산공제 규정을 […]

상속증여(7) – 연간증여면제액($14,000)이란?

연간증여면제액($14,000)이란?   지난 주에는 증여나 상속세 과세대상 자산이 있더라도 그 가액이 $5,490,000이하면 통합세액공제(Unified Tax Credit)규정에 의해 연방 증여세나 상속세를 내지 않고 타인에게 증여나 상속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 물론, 거주하는 […]